2017년 옥스팜(OXFAM)에서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상위 8명의 부가 전세계 하위50%의 부보다 많다고 한다. 즉 8명의 재산이 하위 37억명의 재산의 합보다 크다는 뜻이다. 또한 2015년 이후 세계 상위 1%가 나머지보다 더 많은 부를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통계자료들을 볼 때 현재 세계는 얼마나 부의 격차가 심한지 알 수 있다. 빈곤선 빈곤하다를 표현할 수 있는 기준점으로 빈곤선 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빈곤선이란 사람들이 최저한도의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임금 수준이다. 세계의 빈곤선은 이와 같다 선진국의 빈곤선 : 국민 평균 수입의 절반이하 임금 개발도상국의 빈곤선 : 하루임금 1.25달러 이하 빈곤선의 기준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이 서로 다른데, 이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물가가 ..
대륙과 대륙의 경계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혹은 오세아니아와 남아메리카 등 바다로 나눠져 있으면 어느 대륙에 속해 있는지 기억하기 쉽다. 하지만 아시아와 유럽, 유럽과 아프리카 등 대륙끼리 연결 되어 있는 곳은 대륙간의 경계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이번 시간에는 구분하기 힘든 대륙간 경계 부분에 대해 알아보겠다. 아시와와 유럽 아시아와 유럽은 바다로 나뉘어 있지 않고 대륙으로 나눠져있다.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로는 보스포루스 해협, 캅카스 산맥, 우랄 산맥이 있다. 터키에 지나가고 있는 보스포루스 해협과, 우랄 산맥을 기준으로 우랄산맥 동쪽은 아시아 우랄산맥 서쪽은 유럽으로 나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과 아프리카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홍해를 기준으로 나뉘고, 유럽과 아프리카는 지브롤터 해협으로 나뉜다. ..
지구에는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라는 대륙이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대륙명들이 어떻게 탄생됬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아시아 아시아는 처음으로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의해 기원전 440년 경에 그리스와 대비되는 지역 개념으로 페르시아 제국(이란)을 가리키거나, 현재 터키령의 아나톨리아 지방을 소아시아 라고 했는데 그런 지역 전체를 가리켜 아시아 라고 불렀습니다. 현재 우리가 부르는 아시아와는 많은 차이가 있는 장소입니다. 이 이나톨리아 지역은 문명과 관련해 큰 특징이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농업이 가장 먼저 이루어진 지역으로 농업을 유럽과 중국쪽까지 전부 전파하게되는 기원지가 됩니다. 2. 아프리카 아프리카는 지중해의 남쪽, 북부 아프리카의 지중해 연안 지역, 특히 튀니..
1.판게아 세계지도를 퍼즐처럼 맞춰 본 적이 있나요? 유심히 지도를 보면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유럽과 아프리카의 서쪽과 아메리카 대륙의 동쪽 모양이 마치 붙이면 딱 맞아 들어갈 것만 같이 매우 유사하게 생겼습니다. 옛날 사람들도 유사한 생각을 했죠. 독일의 지리학자 훔볼트라는 사람은 직접 남아메리카 대륙 쪽에 답사를 갔느데 아프리카의 서쪽 생물과 지질구조가 굉장히 유사한 것을 발견 합니다. 이런저런 독일의 기상학자인 알프레드 베게너는 세계지도를 보고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대륙들의 일부 모양이 매우 유사하다'. 베게너는 "아주 먼 엣날 2억 5천 년 전에는 지구의 육지가 한 덩어리였을 거라고 주장을 하고 그 이름을 '판게아(Pangaea)' 라고 지었습니다. 판게아의 게아를 '가이아'라고 하면 가이아는..
지구는 둥글고 그 안에는 수많은 땅들과 끝도 없는 양의 물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육지와 바다라고 부르죠. 바다위로 튀어나온 육지들은 섬이라고 부릅니다. 이 수많은 섬들중 거대한 몇몇 육지들은 대륙이라고 부르죠. 여러 기준을 들어 육지와 바다를 구분해 봤을 때 지구에는 몇개의 거대한 대양과 대륙들이 존재합니다. 이 대양과 대륙들을 통틀어 5대양 6대륙 이라고 부릅니다.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북극해 남극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5 대양과 6대륙 이죠 하지만 엄밀한 대륙의 기준에 의해선 6대륙이 아니라 7대륙 이라는 사실 아셨나요?? 지구상에서 가장 큰 섬의 이름은 그린란드 (Greenland)입니다. 그린란드는 덴마크어로 그뢴랜(Grønland..
안녕하세요 오늘은 K-MOOC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저는 학교 스터디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면서 K-MOOC를 처음 알게 되었는데요, K-MOOC가 무엇인지에 모르는 사람이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아래는 K-MOOC 홈페이지에 있는 소개 글입니다. 이처럼 K-MOOC는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으로 자유로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온라인 강좌입니다. 한국에는 2015년 10월 처음으로 운영이 되었고 우수 대학들의 강좌를 시작으로 현재 강좌를 더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수백여개의 다양한 강좌가 있는 K-MOOC의 최고 장점은 학습 조건이 없다는 것인데요 대학생, 대학원생, 교수는 물론 일반학습자까지 자유롭게 할습할 수 있습니다. 집에서 온라인으로 앉아서 듣고, 큰 돈 안들이고 질 좋은 강의를..
- Total
- Today
- Yesterday
- 대륙의 기준
- 대분기의 시기
- K-MOOC란
- 소리 증폭기
- 5대양6대륙
- 아메리고 베스푸치
- 단위계
- 5대양7대륙
- 빈곤선
- 갤럭시s8플러스
- 소리 크게듣기
- 3D이모지
- 대륙명유래
- 물리량
- 일식
- 7대륙
- 기본물리량
- 대륙명의 기원
- 대륙간의 경계
- 저조도 촬영
- 대륙의 경계
- 국가별GDP
- 사운드부스터
- 최빈국 기준
- CGS
- 스시
- 대륙명
- 대륙의 이동
- 표준물리량
- 나라별 소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